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

2018년 최저월급 적당한가?

오늘 다뤄볼주제는 2018년 최저월급 얼마일까? 아니 적당한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싶습니다. 


2018년 최저임금은 7,530원입니다. 무려 인상율이 16% 정도나 되는데요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2020년까지 만원으로 올리겠다는 공약을 내세웠습니다.


단순 계산을 해보더라도 그렇게 되면 2018년 최저월급의 경우는 209*7530 = 1,573,770원이라는 금액이 산출되게 됩니다. 


문제는 최저월급만 올라가는게 아니라 이렇게 최저임금 월급을 올리더라도 결국 자영업자나 기업을 운영하는 측에 부담이 되게되고 고스란히 물가에 반영되고 임금 오른만큼 오르게 되버리는 상황이 발생이 되는데요.



자영업자의 경우는 생활이 어려워서 문을 닫는곳이 더 많아지지않을까 합니다. 알바에게 줘야할 임금 부담이 커지는 만큼 말이죠. 오히려 외국인 노동자들이 반길일인것같습니다. 임금이 높은 나라에가서 노동을 제공하고 아껴쓰고 모아서 자국으로 돌아가면 꾀나 큰 금액을 모을수잇으니까요.



마치 우리나라사람들이 최저임금이 높은 호주를 가서 워킹홀리데이를 이용하여 취업을 하고 아끼고 모아서 우리나라에 귀국해서 가게를 차리는 이치와 비슷하다고 할수있습니다. 최저임금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물가가 아닐까합니다.


임금이 아무리 올라간들 물가가 그만큼 올라가버리면 사실 돈의 숫자적 액수만 커졌을뿐이지 최저월급을 올려준 효과를 체감하기가 어렵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경우는 이미 중국이나 베트남 해외등에 생산기지를 건설하고 또는 건설예정중으로 값싼 외국인 노동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순환이 반복된다라고 하면 청년들의 일자리 남아날까 하는 걱저이 있습니다. 


2018년 최저월급 153만원 ,  2017년 최저월급 135만원... 수치만 올랐을뿐 내년도 물가가 과연 어떻게 변경될지 생활 필수품은 또 무슨 핑계를 대고 가격 상승을 할지. 벌써부터 걱정입니다. 라면 ,  쌀 , 농산물 등등..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뱅크 마이너스통장 금리 및 조건!  (0) 2017.11.16
신용등급 올리는법 팩트체크  (0) 2017.08.14
5만원 대출 가능하긴해?  (0) 2017.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