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매도 후 입금 - 기초팁입니다.
주식하면 흔히 망한다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국내에서 주식을 하기위해서는 별도의 증권사 계좌가 필요합니다.
증권사를 방문한다거나 각각 제휴되어있는 은행등을 통해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통장은 일반 은행계좌와는 다른 자산관리종합계좌CMA를 이용해서 투자를 진행하게됩니다.
주식을 하면서 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건 본인만의 투자원칙이 아닐까합니다.여러 세력이나 개인 개미들에게 흔들리지않고 뚜렷한 자기 주관이 있는사람이 성공을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보통 세력이나 외인 기관들에 의해서 상당부분 흔들리는 일들이 많죠.
주식은 100% 승리와 수익을 장담할수는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투자자들은 이익을 위해서 움직이는건 동일하고 돈을 따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상대적인 누군가가 손해를 보게 되는데 정보가 부족한 개인이 희생이 되는 경우가 많죠.
최소한 투자이익을 내기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재무재표 및 상황의 판단을 할줄 알아야합니다. 이런 부분들이 최소 투자위험에서 벗어날수 있는 기본 항목 종목중 하나입니다.
기본적인 주식기초용어들 bps eps , pbr 등의 용어 숙지도 필요합니다.
주식 매도 후 입금 시기 언제일까요?
그럼 주식을 매입하고 매도하는 경우 발생하는 주식 매도 후 입금 무엇을 의미할까요? 이 의미는 주식을 매도한 이후에 사용된 금액이 다시 통장으로 입금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하고있습니다. 의외로 매도하면 바로 입금되는 줄아시는 분들이 계신대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내가 주식을 팔았던 주식에 대해 매도하신후에 +2박3일이 지나서 현금을 찾으실수 있습니다.
보통 증권계좌에 D+3 D+2라고쓰여있는 항목들을 보신적이 있을겁니다 d는(해당날짜)를 기준으로 +숫자(영업일기준) 으로 주식이 매도후 입금됩니다.
반대로 내가오늘 15일날 주식을 구매했다고 가정하면 3일뒤에 실제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즉 실제 소유는 17일이 내가 주식을 구매한 매매날짜를 의미하죠.
그래서 이 매매 날짜가 중요한 이유는 연말에 배당주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3일 미리 주식을 구매해서 배당기준일에 맞춰서 구매를 해둬야한답니다. 예를 들어서 배당금 주식기준일이 12월31일인데 12월28일이전에 사야 배당금을 받으실수있는 자격이됩니다. 이 기준일이 중요하므로 꼭 잊으시면안됩니다.
주식 매도 후 입금 시는 딜레이3일로 ( D+3 ) , 주식 실제 권리를 행사하기전( -D) 일 이전에 구매하셔서 유상증자 또는 배당금에 대항하는 날짜를 미리 알아보신후에 실제 주식 소유기간동안에 배당금 확정일을 받아서 사전 매입을 하셔야합니다. 배당일을 기산으로 하는 날에 소유를 하고계셔야 이후에 배당금을 받으실수 있다는점은 잊지 말아주세요.
오늘15일날 매도를 하셨다면 17일날 입금을 하고 출금을 하실수가 있는 셈입니다. 주식 매도 후 입금에 관련되서 소개해드렸는데요. 다음에는 세금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액면분할 의미와 뜻 (0) | 2017.04.26 |
---|---|
오성엘에스티 분석 주가동향 (0) | 2017.04.12 |
자율주행차 관련주 테마는? (0) | 2017.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