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주식 매도 수수료 관련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을 한번이라도 거래를 해보신분이라면 매도 수수료가 빠져나가는걸 보셨을텐데요
음 주식으로 많은 돈을 버는 경우에도 별도로 추가 세금을 내지는 않습니다.
다른 금융소득과는 달리 거래시마다 내게되는 주식 매도 수수료가 있기 때문인데요. 주식은 판매 즉 매도를 할때마다 매도 수수료를 0.3% 자동으로 물게 되어있습니다.
주식거래량이 많이질수록 나라에서 매도금액에 대한 세금을 걷는 셈인거죠.
주식 매도 수수료
주식 매도 수수료 이외에는 증권사 수수료가 더해져서 세금을 내게됩니다. 매번 거래시마다 수수료나 세금이라는 명칭으로 붙게되는데요. 그래서 주식을 구입했을때 가격보다 팔때 가격을 보시면 세금가를 포함해서 구매가격보다 조금더 높게 매겨지는걸 보셨죠?
이 주식 매도 수수료는 자신이 주식을 통해서 수익을 거둔경우나 손실을 거둔경우에도 동일하게 매도가의 0.3%를 세금으로 내게 됩니다. 매도하려면 자동으로 계산이 되므로 안내고 싶어도 안낼수가 없는 항목입니다.
흔히 증권사에서 주식거래 수수료가 없다고 광고를 하는데 이 의미는 증권사에서 거래에 대한 수수료를 받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수수료는 모든증권사가 동일합니다.
증권사별로 매도 수수료가 다른가요?
아닙니다 증권사별로 매도 수수료는 모두 동일합니다. 다만 증권사에서 HTS , 증권거래프로그램 등의 이용댓가로 증권사 수수료가 붙게되는데 증권사에서 수수료는 대부분 0.1%~0.15% 정도 내게 됩니다.
하지만 대부분 증권사는 1개월부터 최대 10년까지 수수료 무료 행사등의 이벤트를 통해서 고객확보를 하고있습니다. 예를들자면 KB증권의 경우도 비대면 계좌개설시 5년간 주식거래수수료가없습니다.
미래에셋대우 증권의 경우는 2025년까지 스마트폰으로 개설한 사람에 한하여 국내주식 거래수수료가 무료입니다. 크레온이라는 업체도 스마트폰 비대면계좌 개설시에 5년간 수수료가 0% 입니다. 본인이 이용하기 편한 증권사 프로그램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증권 비대면 계좌개설 준비물 (0) | 2017.05.06 |
---|---|
주식 액면분할 의미와 뜻 (0) | 2017.04.26 |
오성엘에스티 분석 주가동향 (0) | 2017.04.12 |